728x90 크랙등반3 [클라이밍] [암벽형태에 따른 분류-슬랩등반] 슬랩등반을 잘하려면? 암벽형태에 따른 분류 크랙등반, 침니등반, 페이스등반 그리고 이어서 슬랩등반에 대한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 슬랩이 무엇이고 어떻게 등반해야 잘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기록하니 많은 도움이 되기 바랍니다. 4. 슬랩등반 - 슬랩(Slab)이란 평평하고 매끄러운 넓은 바위를 가리킵니다. 이러한 수직 이하(약 50~70도가량 경사)의 암벽을 오르는 등반입니다. - 암벽화의 마찰력과 몸의 무게 중심을 최대한 이용하여 손바닥이나 손을 밀착시켜 균형을 유지하며 오르는 등반입니다. - 오버행은 떨어져도 허공에서 멈추기 때문에 안전하다는 느낌이 드는데 이거는 미끌어져 버리면 미끄럼틀 타듯이 죽 내려갑니다. - 크랙이나 페이스를 오르려면 어느 정도의 등반기술과 완력이 필요하지만 슬랩등반은 발의 비중이 큰 등반입니다. ※.. 2024. 1. 23. [클라이밍] 암벽형태에 따른 분류-페이스등반, 90도에 이르는 경사의 암벽을 오르는 것으로 발 사용이 가장 중요한 등반 암벽형태에 따른 분류 3번째 포스팅입니다. 크랙등반 - 손재밍, 손가락재밍, 주먹재밍, 발재밍 등 다양한 형태의 기술에 관해서 알아보았으며, 침니등반은 손으로 밀고 등을 대고 벽 사이에서 구사하는 침니의 종류와 등반 요령에 관한 포스팅이에 이어 3번째 포스팅입니다. 수직벽에 다다르는 등반의 형태로 자연암벽에서는 많은 구간 만나볼 수 있습니다. 북한산 인수봉, 도봉산, 노적봉 등 페이스 등반을 하게 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3. 페이스 등반 - 수직의 암벽면을 오르는 등반입니다. - 보통 80~90도의 경사의 암벽을 오르는 것입니다. - 핑거 포켓이나 엣지 등의 바위 돌기를 이용한 등반을 해야만 합니다. - 홀드가 작으면 작을 수록 무게 중심을 옮겨야 하는 섬세한 동작이 많이 요구되기 때문에 유연한.. 2024. 1. 20. [클라이밍] 암벽형태에 따른 분류-크랙등반, 크랙등반을 위한 재밍의 종류 및 사용법 암벽형태에 따른 분류 클라이밍은 똑같은 바위를 오를 수 없습니다. 바위 형태에 따라서 어떤 종류의 등반인지 형태에 따라 크랙등반, 침니등반, 페이스 등반, 슬랩등반 등 나눌 수 있습니다. 각 형태마다 손기술, 발기술 등 유용한 쓰임으로 등반 할 수 있도록 하나씩 포스팅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크랙 등반 (Crack Climbing) 손가락이나 손, 발, 팔을 넣을 수 있을 정도로 균열된 암벽의 틈새(Crack)를 따라 등반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때에는 재밍장갑을 끼워주는 것이 좋습니다. ※ 재밍장갑이란 등반을 하기 위해 끼는 장갑으로 손가락까지 덮혀있으면 바위에 밀리거나 잡는데 불편함이 있습니다. 그래서 장갑에 손가락부분은 없고 재밍을 했을 때 손등을 보호하기 위해서 등에는 가죽 또는 천으로 덮힌 .. 2024. 1. 17. 이전 1 다음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