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Daily_Words70

비로소? 비로서? 어떤 단어가 맞는 것일까요? 이것인가? 이것인가? 한번쯤 방황하게 하는 단어입니다. '비로소'와 '비로서' ? ■ 비로소의 사전적 의미 - 어느 한 시점을 기준으로 그 전까지 이루어지지 아니하였던 사건이나 사태가 이루어지거나 변화하기 시작함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예) 아들이 집에 들어온 걸 보고나니 비로소 잠을 잘 수 있었다. 예) 비가 오고 나니 비로소 기온이 떨어졌다. - '비로소'는 드디어, 이제야 등의 의미로 사용되며, 긴 기다림 또는 오랜 과정 후에 완료된 결과를 강구하는 데 사용됩니다. - 유의어 (비슷한 단어) : 그제야, 드디어, 마침내 ■ ‘비로소’의 의미로 ‘비로서’를 쓰는 경우가 있으나 ‘비로소’만 표준어로 삼고, ‘비로서’는 버린다. 우리가 사용하면서 고민할 부분이 안되는 것 같습니다. 오늘 한번 짚고 넘어가니.. 2024. 1. 31.
우렁쉥이를 아세요? 멍게는 방언, 우렁쉥이는 표준어, 방언이 표준어가 되다. 오늘 새롭게 알게 된 단어에 대해서 포스팅 해 봅니다. 반전의 반전 같은 느낌이였답니다. 잠시 아래 글 내용을 읽기 전에 생각을 떠 올려보세요. '우렁쉥이'하면 어떤 해산물이 떠오르나요? 이미지와 같은 우렁 종류가 떠오르시죠? 맞습니다. 저 또한 그랬으니까요 그런데 우렁쉥이가 그런 뜻이 아니라는 사실에 반전으로 읽어봐 주세요. 멍게가 우렁쉥이? 멍게 & 해삼은 맛 좋고 몸에 좋은 영양소 듬뿍 담은 단짝의 궁합 좋은 식품입니다. 혹시 멍게가 사투리라리는 사실을 알고 계시나요? 그럼 멍게의 표준어는? 원래 '우렁쉥이'가 표준어이고 '멍게'는 방언이었는데 '멍게'라는 말이 더 널리 쓰이게 되면서 표준어로 삼았습니다. 물론 우렁쉥이가 표준어이니 당연히 우렁쉥도 표준어로 남아있습니다. 이렇듯, 방언이 널리 쓰이다.. 2024. 1. 24.
병원코디네이터란? 실버병원코디네이터란? 관심이 높아지는 민간자격증, 노령인구 증가에 따른 취업분야 백세시대 [건강하고 행복한 100세새대를 여는 신문] 발췌 올해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95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8.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2025년 20.6%를 기록한 뒤 2050년에는 4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됐다. 2022년 기준 65세 이상 일하는 노인은 36.2%이고, 고령자 가구의 순자산액은 4억5364만원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은 이러한 내용의 ‘2023년 고령자 통계’를 발표했다. 고령인구 비중을 남녀 성별로 보면, 여성의 노인인구 비중은 20.6%로 남성(16.2%)보다 4.4%p 높았다. 여성만 보면 이미 초고령사회(노인인구 비율 20% 이상)로 진입한 것이다. 이렇듯 연령은 높아지고 노령 인구의 수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젊은 연령의 1자녀가.. 2024. 1. 9.
15초의 미학, 결정의순간, No를 Yes로 바꾸는 순간, MOT 고객접점 서비스, 마케팅 용어 MOT뜻 정리 MOT란, MOT(고객접점)마케팅 용어입니다. 1. MOT란 - MOT(Moment of Truth)란 스페인의 투우 용어인 'Moment De La Verdad' 직역하면 "진실의 순간" 이라는 뜻입니다. - MOT는 투우사가 소의 급소를 찌르는 순간을 뜻합니다. 즉, '피하려고 해도 피해지지 않는 순간' '실패가 허용되지 않는 중요한 순간'이라는 뜻과 비슷합니다. - MOT라는 것은 '중요한 순간' 혹은 '결정적 순간'의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 마케팅에서는 MOT라면 '고객들이 우리에 대한 실질적인 인상을 품는 순간' 등으로 말할 수 있습니다. 2. 고객접점(MOT) 서비스란? - 고객접점이란? 잠재고객이나 고객이 무언가를 구매하기 전 또는 구매하는 중, 구매한 후에 브랜드를 접하는 모든 순간을.. 2024. 1. 5.
발췌독 뜻, 책 읽기에 관한 용어 정리. 정독, 속독, 다독, 편독, 완독, 통독 등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핵심 요점만을 간추린 내용을 좋아합니다. 예전에는 지면으로 담긴 신문이나 잡지가 있었지만 지금은 손 안에 들어있는 핸드폰 속 세상을 살다보니 더욱 그런듯 합니다. 현대인의 삶속에서 나온 단어를 포스팅 해 봅니다. 1. 발췌(拔萃) 하다. - 拔(뽑을 발) 萃(모을 췌)의 한자입니다. - '책이나 글 따위에서 필요하거나 중요한 부분을 가려 뽑아내다.'라는 뜻을 의미합니다. - '여럿 가운데에서 특별히 뛰어내다. '라는 뜻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 쓰임 사례) 이 책은 일반 독자가 부담없이 읽을 수 있도록 원래 책의 단편적인 내용만 발췌하였다. -고려대 한국어 대사전 - 2. 발췌(拔萃)독(讀)이란? - 拔(뽑을 발) 萃(모을 췌)의 한자에 독(읽을 讀)의 합성어입니다. - 필요한.. 2023. 12. 26.
순공, 순공시간 뜻, 순공시간 측정 방법, 순공시간 늘리기 연말 연초 모두 새롭게 계획을 다짐하곤 합니다. 수능 끝나고 나서 자기 진로를 위해 대학을 진학할 것인지? 조금 더 나은 성적을 위해 재수를 해야 하는것인지? 또 다른 입시를 준비하고 계시는 사회초년생분들 더 나은 삶을 위해 고시 공부를 준비하며 진로를 고민하고 계시는 시기가 바로 이 시점인듯 합니다. 이런 분들 순공하셔야 하는데 계획을 잘 세워야 내년을 잘 준비하게 되겠습니다. 공부는 모든 시간 앉아서 집중하는 데 쓰는 힘이라 엉덩이 힘이라고도 한다고 합니다. 여기서 바로 "순공"이 나왔네요. 이 단어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1. 순공이란? - 순수 공부를 줄인 말입니다. - 단지 책상앞에 앉아이 있는 시간, 휴대폰을 보거나 휴식을 취하거나 밥을 먹는 등의 시간을 제외한 순수 공부하는데 집중하는 것을 의.. 2023. 12. 1.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