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스포츠심리학2

[스포츠심리학] 스트룹효과, 칵테일파티효과 머리속으로 인지하는 것과 말로 표현을하고자 하는 것에 대해 미세한 차이를 보이며 망설일 때가 있습니다. 서로 따로 논다. 라는 표현이 맞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심리학적 용어이지만 아! 이런거구나 하는 용어를 정의해 봅니다. 1. 스트룹 효과 위에서 보인 단어를 읽어보세요. 어떤가요? 빨강색으로 적힌 단어를 빨강이라고 읽는것은 자연스러우면서 바로 말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보인 단어를 읽어보세요 어떤가요? 빨강색으로 적힌 글씨는 단어는 검정색이다보니 빨강과 검정에서 오는 상충으로 인하여 미세한 시간차를 보이게 됩니다. - 스트룹 효과는 인지심리학에서 잘 알려진 현상 중 하나입니다. - 이 효과는 색상과 단어의 의미가 상충되는 조건에서 발생합니다. - 스트룹 효과 실험에서는 참가자들에게 색상 이름이 적힌 .. 2024. 2. 7.
[스포츠 심리학] 링겔만 효과 뜻, 나타나는 이유, 사회적태만 예방 심리적으로 혼자는 죽을 힘을 다해 하던 일 또는 작업을 단체(팀)을 이루어서 하게 되면 생각했던 것보다 큰 효과를 내지 못하는 때가 있습니다. 시니지를 더 받을 것 같았지만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이 좀 더 잘할꺼야, 나쯤이야 조금만 해 주면 되겠지! 라는 생각으로 개인일 때보다 더 태만해지게 되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직장, 운동 등 단체(팀)일때 보여지는 현상에 대해 포스팅 해봅니다. 1. 링겔만 효과란? 1) 어떤 집단의 크기가 커지면 개인 수행 평균(=개인별 집단 공헌도=생산성_이 감소하는 효과를 말합니다 2) 1913년 프랑스 농업전문 엔지니어(agricultural engineer)인 링겔만은 줄다리기 실험을 통화 집단 구성원들의 공헌도의 변화를 측정하면서 유래되었습니다. 2. 링겔만 효과의 줄다리.. 2024. 2. 2.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