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클라이머8

[클라이밍] 클라이밍 난이도 체계, 요세미테 십진법과 볼더스케일 리드 클라이밍을 위한 준비가 다 되었다면 본격적으로 단계를 높여가며 도전하는 목표를 세우고 이에 맞게 연습과 경험을 토대로 몸을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클라이밍에는 난이도가 있습니다. 실내 클라이밍에서는 색상으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자연 바위 같은 경우에는 루트를 개척할 때 대략적인 도전 난이도를 설정하게 됩니다. 개척당시에 많은 무브를 해 보고 느껴보고 도전 할 수 가능한 최대 난이도에 따라 등반루트를 만들게 됩니다. 난이도=등급 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실내클라이밍에 가면 벽에 붙어 있는 색색들의 그래프를 보게 됩니다. 클라이밍에서의 그레이드(=난이도)는 해당 루트의 난이도를 표현하는 용어로써 등반 루트의 어려움의 정도와 기술적인 부분을 정량화하여 등급을 매기는 것으로 클라이머들의 능력과 경험에.. 2023. 12. 27.
[클라이밍] 스포츠 클라이밍, 멘탈스포츠 클라이밍의 종류 [볼더링, 리드, 스피드] 정리 즐기는 클라이밍 대부분 등산을 하다가 릿지라고 하는 바위를 등산하듯 가는 걸 경험하게 됩니다. 저 또한 그러했습니다. 하지만 릿지라고 하는 건 아무런 장비없이 발로만 바위 위를 걷는 행위로 위험천만합니다. 그렇듯 모험을 즐기고 싶거든 보다 안전한 장비를 갖추고 바위를 경험하는게 좋을 것 같아서 시작한게 바로 자연암벽(락 클라이밍)을 시작하게 된 계기가 되었습니다. 자연암벽으로 바로 입문해서 등반하는 요령 및 과정 등 시스템 교육을 받고 클라이밍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실내 클라이밍장에서 연습을 한 것이 아니라 바로 실전에서 손과 발 쓰는 요령까지 같이 습득하게 됩니다. 한참 재미있어서 주말마다 배낭에 장비를 챙겨서 북한산으로 뛰어다녔던 기억이 떠오릅니다. 지금은 자연암벽을 더 즐겁게 난이도 높은 곳을 등.. 2023. 11. 13.
728x90
728x90